본문 바로가기

공부/C++

[C/C++] 프린터 (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일반적인 프린터는 인쇄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인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문서가 나중에 인쇄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중요도가 높은 문서를 먼저 인쇄하는 프린터를 개발했습니다. 이 새롭게 개발한 프린터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합니다.

 

1. 인쇄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J)를 대기목록에서 꺼냅니다.
2. 나머지 인쇄 대기목록에서 J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한 개라도 존재하면 J를 대기목록의 가장 마지막에 넣습니다.
3. 그렇지 않으면 J를 인쇄합니다.

예를 들어, 4개의 문서(A, B, C, D)가 순서대로 인쇄 대기목록에 있고 중요도가 2 1 3 2 라면 C D A B 순으로 인쇄하게 됩니다.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위의 예에서 C는 1번째로, A는 3번째로 인쇄됩니다.

현재 대기목록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가 순서대로 담긴 배열 priorities와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현재 대기목록의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loca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priorities location return
[2, 1, 3, 2] 2 1
[1, ,1 ,9 ,1 , 1, 1] 0 5

 

풀이 

문제의 접근 방식은 바로 구조에 있습니다. 가장 '앞' 순서가 검사를 받고 뒤로 보내지던가 혹은 프린트 됩니다.

 

즉, 선입선출 방식의 Queue를 활용하면 더욱 쉽게 가능합니다.

 

1. Queue를 통해서 front()를 사용하여 뒷 순서와 비교를 진행하면 됩니다. 하지만 C++에서 Queue는 순회할 방법이 없더군요... 그래서 저는 대신 순회해줄 pop_queue라는 pop전용 queue를 만들었습니다. pop_queue는 반복문마다 남아있는 배열로 초기화를 시켜주는 방식으로 만들어주었습니다.

 

2. 1번을 통해서 기본적인 구현은 완료를 했습니다. 하지만 테스트 케이스 2번의 경우 같은 숫자가 여러번 반복해서 나오다보니 특정한 순서의 숫자로 고정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기존의 Queue와 역할을 같이 하는 대신에 각 자리의 의미를 가지는 1 ~ queue.size()의 숫자로 만든 Queue를 만들어서 서로 같은 동작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3. 2번까지 완료를 하면 비록 같은 1이라고 하더라도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게 되어 각각 특성이 다를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간과한 사실이 있었습니다.

 

2 1 3 2에서 만약 1번이 언제 프린트 될지를 구하자면 3 2 2 1로 더 이상의 이동이 없는 모습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2번째 테스트 케이스 또한 9 1 1 1 1 1로 더 이상의 반복문이 의믜가 없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1 2 3 이라는 배열이 있다면 3 1 2로 변하고 3이 프린트 된 이후 1 2에서 다시 2 1로 변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 문제에서 중요점은 이렇게 3가지입니다.

 

1. 큐를 이용

2. 각 자리마다의 의미를 부여

3. 2중 반복문의 필요성

 

위의 세가지 부분을 유심히 살핀다면 충분히 빠르게 해결 가능한 문제입니다.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vector<int> priorities, int location) {
    int answer = 0;
    int priorities_size = priorities.size();

    queue<int> temp_queue; // 벡터를 큐로 대체
    queue<int> answer_queue; // 순서
    queue<int> pop_queue; //순회 용

    for (int i = 0; i < priorities_size; i++) {
        temp_queue.push(priorities[i]);
        answer_queue.push(i);
    } //순서 초기화

    while (temp_queue.size() > 0) {
        int temp = temp_queue.front(); // 제일 앞자리 하나를 잡고
        bool pass = true;
        temp_queue.pop();
        pop_queue = temp_queue;

        while (pop_queue.size()>0) {
            //temp = { 2 } , pop_queue = temp_queue = { 1, 3, 2 }
            //answer_queue = { 0, 1, 2, 3 }
            if (temp < pop_queue.front()) { // 만남
                temp_queue.push(temp); //부서지면서 뒤로 보냄 temp_queue = { 1, 3, 2, 2 }

                int answer_temp = answer_queue.front();
                answer_queue.pop();
                answer_queue.push(answer_temp); // answer_queue = { 1, 2, 3, 0 }
                pass = false;
                break;
            }
            else pop_queue.pop();
            //한 번 이동
        }
        
        //그냥 끝이 나버리면 뒤로 보낼일 없이 한 번이 지나감
        if (pass == true) {
            int at = answer_queue.front();
            answer_queue.pop();
            answer++;
            if (at == location) {
                break;
            }
        }
    }

    return answer;
}

 

※더 좋은 방법과 알고리즘 혹은 개선해야할 부분은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