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
-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 4,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 6,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 5, 8,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1.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
-
hand는 "left" 또는 "right" 입니다.
-
"left"는 왼손잡이, "right"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
-
-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L,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R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numbers | hand | result |
[7, 0, 8, 2, 8, 3, 1, 5, 7, 6, 2] | "left" | "LRLLRRLLLRR" |
[1, 2, 3, 4, 5, 6, 7, 8, 9, 0] | "right" | "LLRLLRLLRL" |
왼손잡이가 [7, 0, 8, 2, 8, 3, 1, 5, 7, 6, 2]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LRLLRRLLLRR"이 됩니다.
오른손잡이가 [1, 2, 3, 4, 5, 6, 7, 8, 9, 0]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LLRLLRLLRL"이 됩니다.
풀이
이실직고를 하자면 거의 노가다 방식으로 말그대로 문제를 따라갔습니다. 아직 다른 분들의 풀이를 보지는 못했지만 스마트하게(?) 풀이 하지는 못했네요...
일단 저는 배열로 풀이 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제일 왼쪽위인 1을 [0,0]으로 설정하고 가장 마지막인 #을 [3,2]로 해서 풀이를 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왼손의 위치와 오른손의 위치를 배열의 행과 열의 2수로 저장하기 위해서 크기 2짜리의 배열을 사용하였습니다.
그 다음은 숫자를 어느 손이 누르는가를 결정하는 것인데 1, 3, 4, 6, 7, 9는 사실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가장 문제되는 건 중앙열인 2, 5, 8, 0입니다. 우리는 현재 위치를 알고 있고 그 숫자의 배열 값을 알고 있으니 거리값 계산을 행과 열로 계산을 하고자 했습니다.
키패드에서 1과 5의 거리값은 [0, 0]과 [1, 1]로 거리 값은 2
키패드에서 2와 0의 거리값은 [0, 1]과 [3, 1]로 거리 값은 3
절대값(출발 지점의 행 값 - 도착 지점의 행 값) + 절대값(출발 지점의 열 값 - 도착 지점의 열 값)을 거리 값으로 하였습니다. 이로써 현재 위치와 누르려는 숫자의 위치의 거리 값을 토대로 왼손과 오른손을 비교하면 되겠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두 값이 같을 때 오른손잡이냐 왼손잡이냐에 따라서 설정을 해주면 풀이는 끝입니다.
글로 쓰면 참 짧은데 저 0~9의 숫자의 조건 각각 다르게 주다보니 코드가 엄청 길어졌습니다.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decide_hand(int left_hand[2], int right_hand[2], int goal_location, string hand){
int goal_x, goal_y;
int result;
switch(goal_location){
case 0:
goal_x = 3;
goal_y = 1;
break;
case 2:
goal_x = 0;
goal_y = 1;
break;
case 5:
goal_x = 1;
goal_y = 1;
break;
case 8:
goal_x = 2;
goal_y = 1;
break;
} // decide location
int left_hand_garo = left_hand[0] - goal_x > 0 ? left_hand[0] - goal_x : goal_x - left_hand[0];
int left_hand_sero = left_hand[1] - goal_y > 0 ? left_hand[1] - goal_y : goal_y - left_hand[1];
int left = left_hand_garo + left_hand_sero;
int right_hand_garo = right_hand[0] - goal_x > 0 ? right_hand[0] - goal_x : goal_x - right_hand[0];
int right_hand_sero = right_hand[1] - goal_y > 0 ? right_hand[1] - goal_y : goal_y - right_hand[1];
int right = right_hand_garo + right_hand_sero;
printf("left_hand : %d %d , right_hand : %d %d \n", left_hand[0], left_hand[1], right_hand[0], right_hand[1]);
printf("left_dist : %d / garo: %d, sero : %d\n", left, left_hand_garo, left_hand_sero);
printf("right_dist : %d / garo: %d, sero : %d\n", right, right_hand_garo, right_hand_sero);
if(left > right) return 2;
else if(right > left) return 1;
else{
if(hand == "right") return 2;
else return 1;
}
}
string solution(vector<int> numbers, string hand) {
string answer = "";
//array fill with 0
int phone[4][3] = {0,};
//hand location
int left_hand[2] = {3, 0};
int right_hand[2] = {3, 2};
//numbers_size config
int size = numbers.size();
//for
for(int i = 0 ; i < size ; i++){
char temp;
switch(numbers[i]){
case 1:
temp = 'L';
left_hand[0] = {0}; left_hand[1] = {0};
break;
case 3:
temp = 'R';
right_hand[0] = {0}; right_hand[1] = {2};
break;
case 4:
temp = 'L';
left_hand[0] = {1}; left_hand[1] = {0};
break;
case 6:
temp = 'R';
right_hand[0] = {1}; right_hand[1] = {2};
break;
case 7:
temp = 'L';
left_hand[0] = {2}; left_hand[1] = {0};
break;
case 9:
temp = 'R';
right_hand[0] = {2}; right_hand[1] = {2};
break;
case 2:
if(decide_hand(left_hand, right_hand, 2, hand) == 1){ temp = 'L'; left_hand[0] = 0; left_hand[1] = 1;}
else{ temp = 'R'; right_hand[0] = 0; right_hand[1] = 1;}
break;
case 5:
if(decide_hand(left_hand, right_hand, 5, hand) == 1){ temp = 'L'; left_hand[0] = 1; left_hand[1] = 1;}
else{ temp = 'R'; right_hand[0] = 1; right_hand[1] = 1;}
break;
case 8:
if(decide_hand(left_hand, right_hand, 8, hand) == 1){ temp = 'L'; left_hand[0] = 2; left_hand[1] = 1;}
else{ temp = 'R'; right_hand[0] = 2; right_hand[1] = 1;}
break;
case 0:
if(decide_hand(left_hand, right_hand, 0, hand) == 1){ temp = 'L'; left_hand[0] = 3; left_hand[1] = 1;}
else{ temp = 'R'; right_hand[0] = 3; right_hand[1] = 1;}
break;
}
answer += temp;
}
return answer;
}
PS. 다른 사람 코드는 약 50줄 언저리인걸 보니 너무 노가다 성으로 풀긴한 것 같다...
'공부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 실패율 (프로그래머스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0) | 2020.07.31 |
---|---|
[C/C++] 스킬 체크 레벨 2 (프로그래머스) (0) | 2020.07.31 |
[C/C++] 다리를 지나가는 트럭 (프로그래머스) (0) | 2020.07.20 |
[C/C++] 멀쩡한 사각형 (프로그래머스) (0) | 2020.07.17 |
[C/C++] 골드바흐의 추측 (백준 9020) (0) | 2020.07.17 |